본문 바로가기
과학 지식 공부

우주정거장 알아보기

by -__-__- 2023. 1. 30.

우주정거장을 생각하면 산드라 블록이 주연한 영화 그래비티가 떠오릅니다. 벌써 그 영화가 10년이나 됐다는게 너무 놀라운데요. 그 당시 영화를 보고 난 뒤 실제로 우주정거장에 다녀온 느낌이 들어서 정말 인상 깊게 보았던 영화입니다. 영화 속 사건들의 많은 배경이 되는 우주정거장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하는데요. 그동안 우주정거장에 대해 알고는 있었지만 자세하게는 아직 잘 모르고 있었던 것 같아 한번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초의 우주정거장은?

 

스카이랩

 

최초의 우주정거장은 무엇일까요? 최초의 우주정거장은 바로 미국이 1973년 5월에 발사한 스카이랩입니다. 스카이랩은 무중량상태에서 인간활동에 대한 실험과 지구, 우주 관측 등 임무를 수행한 후에 1980년 7월 지구 대기권에서 분해가 된 후 인도양 속으로 가라앉았습니다.

 

그렇다면 그다음 발사된 우주정거장은 무엇일까요?

 

2세대 우주정거장은?

 

미르

 

미국이 발사한 최초의 우주정거장 스카이랩 이후 2세대로 발사된 우주정거장은 무엇일까요? 바로 러시아가 1986년 2월에 발사한 미르입니다. 미르는 모두 6개의 접속장치를 가지고 있는데요. 3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고 총 길이 13cm, 지름 4.2m, 총 무게 21t의 대형 우주정거장입니다. 이 우주정거장에 우주인 유리 로마넨코가 326일간 체류하는 기록을 세워 인간이 우주공간에서 영구적으로 거주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새로 보여주었습니다.

 

국제 우주정거장

 

국제우주정거장

 

국제우주정거장은 1993년에 개발이 되어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2003년 2월 1일 지구로 귀환하던 도중에 우주왕복선의 폭발사고가 일어나 지연이 되어 2011년에 완공 되었습니다. 

 

우주정거장에서의 식사는 우주식으로 하며 잘 포장된 음식물들을 유영을 하면서 식사를 하게 됩니다. 생리현상은 벽에 붙은 쓰레기 처리 장치에서 좌석 벨트를 메고 하게 되는데요. 여기에는 하수구가 없으며 휴지는 특수용기에 넣어 처리하게 됩니다. 

 

국제우주정거장

 

현재의 국제우주정거장은 지구 상공의 약 359km ~ 380km 상공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궤도가 지구를 관찰하기 매우 쉬우며 지표 전체 85% 이상을 관찰 할 수 있으며 인구 수로 따졌을 때는 95%가 살고 있는 전 지역을 관찰 할 수 있습니다.

 

국제 우주정거장은 약 시속 2만 7740km의 속도로 90분 정도에 걸쳐 지구를 한바퀴 돌아 하루 약 16회 지구를 공전합니다. 2008년도에는 한국 최초 우주 비행사 이조연이 국제우주정거장에서 11일 동안 머물면서 과학 실험 및 관찰 임무를 수행하였습니다.

 

국제우주정거장은 앞으로 화성 탐사, 다른 은하 탐사 등의 전진 기지의 용도로 쓰일 것입니다.

 

우주정거장 동영상으로 알아보기

 

 

 

 

마치며

 

국제우주정거장은 지금도 지구의 저궤도를 공전하면서 지구를 관찰하고 있는데요. 앞으로 우주 과학이 더 발전하여서 일반인들도 우주정거장을 거쳐 우주를 여행 할 수 있는 날이 올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우주정거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주정거장에 대해 궁금하셨던 분들에게 좋은 정보가 되는 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과학 지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시톤에 대해서 알아보아요  (0) 2023.03.26
다중우주란 4단계 분류  (0) 2023.01.30
복잡계란 무엇일까요?  (2) 2023.01.30
사건의 지평선이란 블랙홀 우주론?  (0) 2023.01.30
테라포밍이란?  (0) 2023.01.30

댓글